
2025년 출산 지원금 및 혜택 안내
2025년부터 시행되는 다양한 출산 및 육아 지원 제도를 확인하고 경제적 부담을 줄이세요!
1. 출산 지원금
1) 첫만남 이용권
- 목적: 부모의 초기 육아 부담 경감
- 첫째 아이: 200만원
- 둘째 아이: 300만원
2) 부모급여
- 대상: 0세~1세 영유아를 둔 부모
- 지원 내용:
- 0~11개월: 월 100만원
- 12~23개월: 월 50만원
- 지급 방식: 지정 통장으로 현금 입금
3) 양육수당
- 대상: 어린이집을 이용하지 않고 가정에서 아이를 양육하는 부모
- 지원 내용: 24개월 ~ 만 5세 아동에게 월 10만원
- 주의사항: 보육시설 이용 시 즉시 신고 필요
4) 아동수당
- 대상: 만 7세 미만 아동
- 지원 내용: 월 10만원
- 특징: 부모급여, 양육수당과 중복 수령 가능
2. 주거 지원
1) 자녀출산 무주택가구 주거비지원 (서울시 한정)
- 대상: 자녀 출산 무주택가구
- 지원 내용: 0~24개월 동안 월 30만원 (총 720만원)
- 신청 방법: 서울시 '몽땅정보 만능키'에서 검색
2) 전기세 감면
- 기간: 출생 후 3년간
- 지원 내용: 월 전기요금 30% 감면 (월 16,000원 한도)
- 신청 방법: 한전 홈페이지에서 신청 가능
3. 교통비 지원 (지역별 상이)
1) 서울시
- 대상: 임신 12주차 ~ 출산 후 3개월까지의 임산부
- 지원 금액: 70만원
- 사용 범위: 대중교통, 철도, 자가용 유류비
2) 경기도 (분만취약지역)
- 대상: 임신 12주차 ~ 출산 후 6개월까지의 임산부
- 지원 금액: 100만원
- 해당 지역: 연천, 가평, 양평 등
3) 인천시
- 대상: 임신 12주차 ~ 출산 후 3개월까지의 임산부 (6개월 이상 거주)
- 지원 금액: 50만원
4. 세제 혜택
1) 출산·보육수당 비과세 한도 상향
- 현행: 월 10만원 → 개정: 월 20만원
2) 기업의 출산 지원금 비과세
- 대상: 출산 후 2년 내 지급받는 출산지원금
- 혜택: 전액 소득세 비과세
3) 자녀 세액 공제 확대
- 자녀 1명: 연 15만원
- 자녀 2명: 연 35만원
- 자녀 3명 이상: 셋째 자녀부터 1인당 연 30만원 추가 공제
4) 의료비 세제 지원 강화
- 산후조리비 공제 대상: 모든 가족으로 확대
- 6세 이하 부양 가족 의료비: 한도 없이 공제 가능
반응형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그림 판매 자동 수익이 가능한 스톡 이미지 사이트 총정리 🎨 (0) | 2024.12.11 |
---|---|
어린이 연령별 크리스마스 선물 추천 및 인기 브랜드 (7) | 2024.12.05 |
2023-2025 대만 여행 지원금 안내 (4) | 2024.12.05 |
2025년 육아 지원금 제도 변경 사항 (1) | 2024.12.05 |
2024년 보일러 교체 지원금 제도 (4) | 2024.12.05 |